마지막으로 일명 각술(脚術)이라는 것이 있다.
각술이란 다리를 쓰는 방법으로 옛 문헌에 다음과 같이 소개되어 있다.
백가지 기술 신통한 비각술
가볍게 상투와 비녀를 스치며
꽃 때문에 다투는 것도 풍류이니
한번에 초선을 뺏으니 의기가 양양하다.
택견의 각술을 백가지 신통한 비각술(날발)로 표현하고 있다.
또 하나의 기록으로 각술이 체계적으로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있다.
옛 풍속에 각술(脚術)이라는 것이 있는데 서로 대하여 서서 서로 차서 거꾸러뜨린다.
이에 는 세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수는 다리를 차고
잘하는 자는 어깨를 차고
비각술이 있는 자는 상투를 떨어뜨린다.
이것으로 혹은 원수도 갚고 혹은 사랑하는 여자를 내기하여 빼앗는다.
법관으로 부터 금하기 때문에 지금은 이런 장난이 없다.
이것을 탁견이라고 한다.
이에 는 세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수는 다리를 차고
잘하는 자는 어깨를 차고
비각술이 있는 자는 상투를 떨어뜨린다.
이것으로 혹은 원수도 갚고 혹은 사랑하는 여자를 내기하여 빼앗는다.
법관으로 부터 금하기 때문에 지금은 이런 장난이 없다.
이것을 탁견이라고 한다.
위 글에서의 법관은 일제를 말하는 것으로 택견의 강한 면모를 보고
민족 저항 정신을 없애기 위해 가장 먼저 택견을 금지 시켰다.
그 후 택견은 점점 쇠퇴하게 되었다.
일제는 일본의 무예로 우리 민족의 정신까지 지배하려 하였으며
현재까지 그 잔재가 남아 있다.
지금까지 보았 듯 택견은 손과 발을 쓰며 상대를 넘기는 기예이다.
손을 쓰는 수박, 넘기는 씨름, 발을 쓰는 각술
이 모두가 합쳐진 것이 택견이다.
이것을 요즘 사람들은 종합격투기라 부르고
조선시대에는 "탁 견" 이라 불려졌던 것 이다.
출처 : 원주결련택견 http://cafe.daum.net/wonjuteakyun/_album/184
'결련택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밟기 두번째 (0) | 2010.06.14 |
---|---|
택견의 품밟기 (2) | 2010.06.03 |
택견은 종합 격투기란 뜻이다. 2 (0) | 2010.05.29 |
택견은 종합 격투기란 뜻이다. 1 (0) | 2010.05.29 |
인형 때리고 놀기 (3) | 2010.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