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이 깊었네 방황하며 춤을 추는 불빛들
이 밤에 취해 [술에 취해] 흔들리고 있네요.

벌써 새벽인데 아직도 혼자네요
이 기분이 나쁘지는 않네요.

항상 당신 곁에 머물고 싶지만
이 밤에 취해 [술에 취해] 떠나고만 싶네요.

이 슬픔을 알랑가 모르겄어요.
나의 구두여 너만은 떠나지 마오. 워-어-오-

하나둘 피어오는 어린 시절 동화 같은 별을 보면서
오늘 밤 술에 취한 마차 타고 지친 달을 따러가야지.

밤이 깊었네 방황하며 노래하는 불빛들
이 밤에 취해 [술에 취해] 흔들리고 있네요.


가지마라 가지마라 나를 두고 떠나지마라.
오늘 밤 새-빨간 꽃잎처럼 그대 발에 머물고 싶어.

딱 한 번만이라도 [가지마라 가지마라]
날 위해 웃어준다면 [나를두고 떠나가지마라]
거짓말이었대도 [가지마라 가지마라]
저별을 따다줄텐데 [나를두고 가지마라]
아침이 밝아오면 [가지마라 가지마라]
저 별이 사라질텐데 [나를 두고 떠나가지마라]
나는 나는 어쩌나 [가지마라]
차라리 떠나가주오. 워-어-오-

하나둘 피어오는 어린 시절 동화 같은 별을 보면서
오늘 밤 술에 취한 마차 타고 지친 달을 따러가야지.

가지마라 가지마라 나를 두고 떠나지마라.
오늘 밤 새-빨간 꽃잎처럼 그대 발에 머물고 싶어.

날 안아 주오~

 

밤이 깊었네
아티스트 크라잉넛 (CRYING NUT)
작사 캡틴락
작곡 캡틴락
편곡 크라잉넛 (CRYING NUT),노브레인 (NoBrain)
앨범 하수연가
발매일 2001년 6월 1일
장르 펑크 록, 얼터너티브 록, 인디 록
길이 04:02

크라잉넛(Crying Nut)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펑크 밴드입니다. 펑크라는 장르를 우리나라 대중에 널리 알린 최초의 밴드로 꼽힙니다. 대표곡은 '말달리자', '서커스 매직 유랑단', '밤이 깊었네', '오 필승 코리아', '좋지 아니한가' 등이 있습니다. 1995년부터 공연을 하고 1998년 1집 앨범 '말달리자'를 발표해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 음반은 인디밴드 사상 전무후무한 10만 장의 판매를 기록하고 이 기록은 지금까지 깨지지 않고 있습니다. 위의 노래 '밤이 깊었네'는 크라잉넛의 3집 정규 앨범 '하수연가' 수록곡입니다. 친구들과 술 한 잔 먹고 집에 터덜 터덜 걸어가며 부르는 느낌의 곡 입니다.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LL - Thank You  (0) 2024.06.07
카더가든 - 숨을 곳 없어요  (0) 2021.11.13
'a-ha' (Take On Me) (2017 Acoustic)  (0) 2021.11.08
Call me call me - Yoko Kano ft. The Seatbelts (Cowboy Bebop OST)  (0) 2021.11.02
Broken Valentine - Aluminium  (0) 2021.10.28

We're talking away
서로 말하고 있으면서도


I don't know what I'm to say
내가 무슨 말을 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I'll say it anyway
어쨌든 말할게요


Today's another day to find you
오늘은 당신을 찾을 날이 아닌가 봐요


Shying away
부끄러움을 떨쳐내고


I'll be coming for your love, OK?
당신을 사랑하기 위해 다시 올게요, 알겠죠?


Take on me
날 받아줘요


Take me on
날 데려가 줘요


I'll be gone
난 떠날 거예요


In a day or two
하루 이틀 후에 말이죠


So needless to say
그러니 더 말할 필요 없겠죠


I'm odds and ends
전 그저 잡동사니예요


But I'll be stumbling away
그저 더듬거리고 비틀거리지만


Slowly learning that life is OK
삶이 괜찮다는 걸 천천히 배워가고 있어요


Say after me
날 따라 해봐요


It's no better to be safe than sorry
안전한 게 후회하는 것보다 꼭 좋지 않다고


Take on me
날 받아줘요


Take me on
날 데려가 줘요


I'll be gone
난 떠날 거예요


In a day or two
하루 이틀 후에 말이죠


Oh' things that you say
오, 당신이 말하는 모든 것을


Is it a life or just to play my worries away?
그게 일상인가요, 아니면 제 걱정을 덜기 위한 연기인가요?


You're all the things I've got to remember
당신은 제가 기억하는 모든 것들이에요


You're shying away
당신은 수줍어하고 있죠


I'll be coming for you anyway
그래도 난 당신을 찾을 거예요


Take on me
날 받아줘요


Take me on
날 데려가 줘요


I'll be gone
난 떠날 거예요


In a day or two
하루 이틀 후에 말이죠


I'll be gone
난 떠날 거예요


In a day or two
하루 이틀 후에 말이죠


In a day or two
하루 이틀 후에 말이죠

 

Take On Me
Hunting High and Low의 싱글

발매일    1984년 10월 19일

포맷    7", 12"

녹음    1984년, 1985년 (재녹음 버전)

장르    신스팝, 뉴 웨이브

레이블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작사·작곡    마그네 푸루홀멘, 폴 왁타 사보이

프로듀서    존 랫클리프, 앨런 타니

노르웨이의 3인조 팝 밴드 A-ha가 1985년에 발표한 노래 Take on me는 전형적인 1980년대 팝으로 당시 빌보드 1위에 오르고 전 세계를 메가 히트 한 곡입니다. 이 노래의 원곡은 1981년 The Juicy Fruit Song이었는데 폭삭 망해서 잊혀졌지만 거대 음반사 워너브라더스와 계약을 하고 새로운 보컬을 들이고 가사를 바꿔서 1984년 Take On Me 발매했습니다. 물론 또 한 번 광탈하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이제 망하면 정말 끝이야 하고 모든 임직원이 달라붙어 뮤직비디오에 애니메이션을 추가하고 신디사이저를 추가하는 등 마개조를 거치며 드디어 전 세계를 뒤흔든 3번째 버젼인 1985 Take on me를 성공적으로 발매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수많은 커버 곡과 CF와 영화 등에 쓰이는 등 꾸준한 사랑을 받는 노래가 되었습니다. 곡을 발표한 지 30여 년 만인 2017년에 바로 오늘 올린 어쿠스틱 버전이 싱글로 발매되었습니다. 어쿠스틱 버젼은 영화 데드풀 2에서도 사용되었습니다.

I close my eyes and I keep seeing things
Rainbow waterfalls
Sunny liquid dreams
난 눈을 감고 무언가를 응시했어
무지갯빛 폭포
화창하고 맑은 꿈을


Confusion creeps inside me raining doubt
Gotta get to you
But I don't know how
혼란이 내 속에서 의심이 비처럼 내려
너에게 가야 하지만
방법을 모르겠어


Call me call me
Let me know it's alright
연락해, 연락해줘
그것이 맞다고 해줘


Call me call me
Don't you think it's 'bout time
Please won't you call and
Ease my mind
Reasons for me to find you
Peace of mind
What can I do
To get me to you
연락해, 연락해줘
시간이 다 되었다 생각지 않아?
제발 전화해서
나를 안심시켜줘
너를 찾아야 할 이유가
마음의 평화라고
어떻게 해야 할까
너를 만나기 위해서라면


I had your number quite some time ago
Back when we were young
But I had to grow
Ten thousand years I've searched it seems and now
Gotta get to you
Won't you tell me how
난 오래전 너의 연락처가 있었어
우리가 어릴 때였지
그러나 난 자라야 했어
내가 오랫동안 찾았던 건 지금과 같아
너에게 가려 해
방법을 말해주지 않을래


Call me call me
Let me know you are there
연락해, 연락해줘
네가 거기 있다는걸 알게 해 줘


Call me call me
I wanna know you still care
Come on now won't you
Ease my mind
Reasons for me to find you
Peace of mind
What can I do
To get me to you
연락해, 연락해줘
네가 건강하다는 걸 알고 싶어
어서 지금 해줘
날 안심시켜줘
너를 찾아야 할 이유가
마음의 평화라고
뭘 할 수 있을까?
너를 만나기 위해서라면


Come on now won't you
Ease my mind
Reasons for me to find you
Peace of mind
Reasons for livin my life
Ease my mind
Reasons for me to know you
Peace of mind
What can I do
To get me to you
어서 지금 해줘
날 안심시켜줘
너를 찾아야 할 이유가
마음의 평화라고
내가 살아야 할 이유라고
날 안심시켜줘
너를 알아야 할 이유가
마음의 평화라고
뭘 할 수 있을까?
너를 만나기 위해서라면

 

아티스트 Steve Conte, performed by The Seatbelts
작곡 Kanno Yoko
작사 Kanno Yoko
앨범 COWBOY BEBOP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3 - Blue)
Released May 1, 1999
Length 4:43
Genre Rock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ying Nut - 밤이 깊었네  (0) 2021.11.09
'a-ha' (Take On Me) (2017 Acoustic)  (0) 2021.11.08
Broken Valentine - Aluminium  (0) 2021.10.28
Rage Against The Machine - Wake Up  (0) 2021.10.27
Rage Against The Machine - Killing in the name  (0) 2021.10.27

부서진 황금의 그 조각들도
누군가에겐 당연한 온기도
그저 바라본 채 그저 스쳐 간 채
난 오늘로 돌아왔고

애써 미소짓는 너의 입술에
아직 남아있는 그 그늘처럼
모두 싸늘하고 너무도 차가워
오직 너와 나의 지금만이

눈부신 오늘 밤 이 시간 속에
그보다 빛나는 너의 두 눈에
빛나는 크리스탈이 되지 못한
나의 차가운 알루미늄만이

애써 외면해왔던 것들에게
그들과 같은 표정을 지었고
항상 그려왔던 항상 믿어왔던
난 점점 더 멀어지고

세상은 또 그 한순간도
모질지 않은 날이 없겠지만
화려한 불빛도 따뜻한 벨벳도
없는 오직 너와의 오늘만이

눈부신 오늘 밤 이 시간 속에
그보다 빛나는 너의 두 눈에
빛나는 크리스탈이 되지 못한
나의 차가운 알루미늄만이

눈부신 오늘 밤 저 하늘 아래
그보다 빛나는 너의 입술에
빛나는 크리스탈이 되지 못한
나의 차가운 알루미늄만이

어쩌면 오늘 단 하루일지 모르는
두 번 다시 오지 않을 것만 같은 밤
따뜻한 바람과 조금은 맞지 않는 소리의 기타를 안고
오늘이 지나면 사라질 것만 같은 이 노래를

조용히 흔들리는 불빛들과
말없이 미소짓는 네 눈빛에
그저 난 바라본 채 그저 난 바라본 채
믿을 수 없는 이 시간을

눈부신 오늘 밤 이 시간 속에
그보다 빛나는 너의 두 눈에
빛나는 크리스탈이 되지 못한
나의 차가운 알루미늄만이

눈부신 오늘 밤 저 하늘 아래
그보다 빛나는 너의 입술에
빛나는 크리스탈이 되지 못한
나의 차가운 알루미늄만이

 

 

아티스트 Broken Valentine
앨범 Aluminium
발매일 2013, 6, 4
장르 POP
레코드 회사 티에스앤컴퍼니

Come on! 
Uggh!


Come on! 


Although ya try to discredit, Ya still never edit!
The needle, I'll thread it, Radically poetic


Standin' with the fury that they had in '66 
and like E-Double 'I'm mad'
Still knee-deep in the system's shit!


Hoover, he was a body remover!


I'll give ya a dose, but it'll never come close to the rage 
built up inside of me!
Fist in the air in the land of hypocrisy!


Movements come and movements go


Leaders speak, movements cease when their heads are flown
'Cause all these punks got bullets in their heads!


Departments of police (what?), the judges (what?), the feds,
networks at work keepin' people calm


You know they went after King 
when he spoke out on Vietnam


He turned the power to the have-nots
and then came the shot!
어서!



어서!


비록 넌 불신하지만, 결코 고치지 않아!
바늘로 내가 급진적 시를 꿰어주지


그들이 66 흑인파동의 분노와
에릭 서몬의 '노래' 속에 서있어
아직도 시스템의 똥덩어리가 넘쳐!


후버, 그는 도살자였지!


내가 처방 약을 줄게, 하지만 결코 닿지 못해!
내 안의 쌓인 분노에
거짓된 땅 허공에 주먹을 휘둘러!


저항운동이 일어났다가 사그라들어


리더들은 연설하나, 그들의 머리통이 날아가면 시위는 멈춰
왜냐하면 모든 사람은 멍청하게 세뇌되었거든!


각 기관 경찰청, 재판부, 연방정부,
감시망은 대중들을 닥치게 해


너는 알거야 그들이 루터 킹 목사를 쫓은걸
베트남에 대해 연설할 때 말야.


그는 권력을 힘없는 자들에게 되돌려주고
결국 총을 맞았지!
Yeah!


Yeah, back in this...


With poetry, my mind I flex
Flip like Wilson, vocals never lackin' dat finesse


Whadda I got to, whadda I got to do, to wake ya up, 
to shake ya up, to break the structure up!


'Cause blood still flows in the gutter
I'm like takin' photos, mad boy kicks open the shutter


Set the groove, then stick and move like I was Cassius!
Rep the stutter step, then bomb a left upon the fascists!


Yeah, the several federal men 
who pulled schemes on the dream
and put it to an end!


Ya better beware of retribution with mind war!
20/20 visions and murals with metaphors


Networks at work, keepin' people calm


Ya know they murdered X 
and tried to blame it on Islam


He turned the power to the have-nots 
and then came the shot!
그래!


그래, 돌아와서...


시로 인해, 내 마음은 편해져
윌슨 처럼 말해, 목소리가 떨리지 않게


나는 한다, 나는 한다, 너흴 깨우고, 
흔들고는, 구조를 박살 낼거야!


시궁창에는 피가 흐르고 있고
난 찍새 같이, 미친 놈처럼 셔터를 찍어대


리듬을 타고, 내가 마치 알리 같이 벌 처럼 쏘지!
좌익을 페인트로 속이고 우익에게 주먹밥을 먹여!


맞아, 연방 정부놈들이
꾸미고 있던 음모를
날리고 끝장내는거지!


너는 심리전의 보복을 조심해!
높은 통찰력으로 숨은 뜻을 잘봐


감시망은 대중들을 침묵하게 하지


너는 알지 그들이 Malcolm X를 죽이고
이슬람을 욕하는 것을 말야


그는 권력을 힘없는 자들에게 되돌려주고
결국 총을 맞았지!
Uggh!


What was the price on his head?
What was the price on his head!!!


I think I heard a shot...
I think I heard a shot...
I think I heard a shot...
I think I heard a shot!


I think I heard a shot!


I think I heard, I think I heard a shot..


(He may be a real contender for this position...
He abandon his supposed obediance to white liberal doctrine of 
non-violence... and embrace black nationalism
Through counter-intelligence... 
It should be possible to pinpoint potential trouble-makers...
And neutralize them, neutralize them, neutralize them...)


Wake up!
Wake up!
Wake up!
Wake up!
Wake up!
Wake up!
Wake up!
Wake up!


How long? Not long, cause what you reap is what you sow!



그놈 현상금이 얼마야?
그놈 현상금이 얼마야!!!


총소리를 들었어...
총소리를 들었어...
총소리를 들었어...
총소리를 들었어!


총소리를 들었어!


분명 들었어, 총소리를 들었어...


(놈은 우리들의 위치에 맞선 강력한 맞수일 것이다...
놈은 백인 자유주의 노선의 비폭력 사상에 복종해야할 의무를 
저버렸다... 그러고는 흑인 민족주의를 옹호한다
첩보활동을 통해... 
잠재적인 반동분자를 집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고 놈들을 없앤다, 없앤다, 없앤다...)


깨어나!
깨어나!
깨어나!
깨어나!
깨어나!
깨어나!
깨어나!
깨어나!


얼마나 걸리냐구? 머지 않았어, 니가 뿌린만큼 거두게 될거니까!

 

 "Wake Up" Rage Against the Machine
Released November 3, 1992
Genre Hard rock
Length 6:04
Label Epic
Songwriter(s) Tim Commerford, Zack de la Rocha, Tom Morello, Brad Wilk
Producer(s) Garth 'GGGarth' Richardson, Rage Against the Machine

Rage Against the Machine는 미국의 4인조 랩 메탈 밴드입니다. 곡 전반적으로 전쟁 반대, 인종 갈등, 자본주의의 모순에 대한 메시지를 넣어 사회를 비판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Fuck you, I won't do what you tell me! 좆까 니말대로 안해!! 가 되겠습니다. 이브닝스탠더드 선정 25대 미국 록 밴드 10위, 2020년 음악 잡지 스핀 선정 35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밴드 10위에 올랐습니다. 여러 가지 기라성 같은 곡들이 있습니다만 위의 곡인 Wake up은 1999년 세계를 충격에 빠트렸던 The Matrix 1편의 엔딩 곡으로 쓰였습니다. 가사 전반에 베트남 전쟁의 광풍이 불고 흑인들을 탄압하던 시절의 은유들이 잘 드러나 있습니다.

Killing in the name of!
명분하의 살인

Some of those that work forces
권력을 다루는 자들 중 일부는
are the same that burn crosses
십자가를 불태우는 놈들하고 똑같아 (x4)

Killing in the name of!
명분하의 살인 (x2)

And now you do what they told you
그리고 이제 넌 걔들이 하라는 대로 하는군 (x12)
'Now you are under control (이제 넌 통제당하고 있어)'


Those who died are justified
죽은 자들은 정당화된다
for wearing the badge,
배지를 달고 있다는 이유로,
they're the chosen whites
그들은 선택받은 백인들
You justify those that died
너희는 죽은 자들을 정당화한다
by wearing the badge,
배지를 달고 있다는 이유로
they're the chosen whites
그들은 선택받은 백인들 (x2)

Fuck you, I won't do what you tell me!
좆 까, 니가 하라는 대로 안 해! (x16)

MOTHERFUCKER!!!
씹새끼야!!!


 

Rage Against the Machin Killing in the name
발매일 1992년 11월
장르 얼터너티브 메탈
레이블 에픽 레코드

예전에 쓰다가 바쁘고 귀찮아서 멈춘 여행기나 마저 써야겠다.

너무 오래되어 까먹을 법도 하지만 사진도 다 남아있고 틈틈이 페이스북에 올리던 글도 있어서 이어 쓰기에 문제는 없는 듯하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하  (0) 2021.08.27
역시  (0) 2020.09.17
기억은 안녕한가요?  (0) 2014.03.08
아아... 생일이네  (0) 2013.10.15
헬스 2주차?  (0) 2011.11.03

 

I can't stand it, I know you planned
I'm gonna set it straight, this Watergate
I can't stand rocking when I'm in here
'Cause your crystal ball ain't so crystal clear
So while you sit back and wonder why
I got this fucking thorn in my side
Oh my God, it's a mirage
I'm tellin' y'all, it's a sabotage


So, so, so, so listen up 'cause you can't say nothin'
You'll shut me down with a push of your button?
But you, I'm out and I'm gone
I'll tell you now, I keep it on and on


'Cause what you see you might not get
And we can bet, so don't you get souped yet
You're scheming on a thing that's a mirage
I'm trying to tell you now, it's sabotage


Why


Our backs are now against the wall?
Listen all y'all, it's a sabotage
Listen all y'all, it's a sabotage
Listen all y'all, it's a sabotage
Listen all y'all, it's a sabotage


I can't stand it, I know you planned it
I'm gonna set it straight, this Watergate
Lord, I can't stand rockin' when I'm in this place
Because I feel disgrace because you're all in my face
But make no mistakes and switch up my channel
I'm Buddy Rich when I fly off the handle
What could it be? It's a mirage
You're scheming on a thing, that's sabotage

인생 참...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도 공허하고...  (0) 2021.10.27
역시  (0) 2020.09.17
기억은 안녕한가요?  (0) 2014.03.08
아아... 생일이네  (0) 2013.10.15
헬스 2주차?  (0) 2011.11.03

난 10여년 전에 이미 죽은게 아닐까?

지금 내가 뭐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아무런 목적도 없이 사막을 떠도는 기분이야.

왜 사는 걸까.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도 공허하고...  (0) 2021.10.27
하하  (0) 2021.08.27
기억은 안녕한가요?  (0) 2014.03.08
아아... 생일이네  (0) 2013.10.15
헬스 2주차?  (0) 2011.11.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