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succeeded in taking that picture [from deep space], and, if you look at it, you see a dot. That's here. That's home. That's us. On it, everyone you ever heard of, every human being who ever lived, lived out their lives. The aggregate of all our joys and sufferings, thousands of confident religions, ideologies and economic doctrines, every hunter and forager, every hero and coward, every creator and destroyer of civilizations, every king and peasant, every young couple in love, every hopeful child, every mother and father, every inventor and explorer, every teacher of morals, every corrupt politician, every superstar, every supreme leader, every saint and sinner in the history of our species, lived there on a mote of dust, suspended in a sunbeam.

"The earth is a very small stage in a vast cosmic arena. Think of the rivers of blood spilled by all those generals and emperors so that in glory and in triumph they could become the momentary masters of a fraction of a dot. Think of the endless cruelties visited by the inhabitants of one corner of the dot on scarcely distinguishable inhabitants of some other corner of the dot. How frequent their misunderstandings, how eager they are to kill one another, how fervent their hatreds. Our posturings, our imagined self-importance, the delusion that we have some privileged position in the universe, are challenged by this point of pale light.

"Our planet is a lonely speck in the great enveloping cosmic dark. In our obscurity - in all this vastness - there is no hint that help will come from elsewhere to save us from ourselves. It is up to us. It's been said that astronomy is a humbling, and I might add, a character-building experience. To my mind, there is perhaps no better demonstration of the folly of human conceits than this distant image of our tiny world. To me, it underscores our responsibility to deal more kindly and compassionately with one another and to preserve and cherish that pale blue dot, the only home we've ever known."


"If we are alone in the Universe, it sure seems like an awful waste of space."
(만약에 우주에 우리 밖에 없다면, 그것은 엄청난 공간의 낭비인 것이다)


솔직히 말해서 기대 안했다면 인간이 아니죠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ㅋ

확률 [ 3 / 8145000 ]의 이번 주 결과는?  - 해당사항없음 -

아.....

꿈은 좋았는데 말이지................

그래도 전 슬퍼하지 않아요
다음주가 있으니까요~


재밌는 점은 매 회 거의 5~6명의 당첨자를 배출하다가 1명만 걸린거에요 그것도 2번 연속으로

참... 확률의 신비가 아닐까 싶어요. 이런 경우는 몇년이 지나도 있을까 말까

아름다운 확률의 세계여~ 나에게 오라~


마지막으로 일명 각술(脚術)이라는 것이 있다.
각술이란 다리를 쓰는 방법으로 옛 문헌에 다음과 같이 소개되어 있다.


백가지 기술 신통한 비각술
가볍게 상투와 비녀를 스치며
꽃 때문에 다투는 것도 풍류이니
한번에 초선을 뺏으니 의기가 양양하다.

위 시는 1921년 최영년이 지은 것으로 해동죽지에 실려있는 시이다.
택견의 각술을 백가지 신통한 비각술(날발)로 표현하고 있다.

또 하나의 기록으로 각술이 체계적으로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있다.

옛 풍속에 각술(脚術)이라는 것이 있는데 서로 대하여 서서 서로 차서 거꾸러뜨린다.
이에 는 세가지 방법이 있는데
하수는 다리를 차고
잘하는 자는 어깨를 차고
 비각술이 있는 자는 상투를 떨어뜨린다.

이것으로 혹은 원수도 갚고 혹은 사랑하는 여자를 내기하여 빼앗는다.
법관으로 부터 금하기 때문에 지금은 이런 장난이 없다.
이것을 탁견이라고 한다.


위 글에서의 법관은 일제를 말하는 것으로 택견의 강한 면모를 보고
민족 저항 정신을 없애기 위해 가장 먼저 택견을 금지 시켰다.
그 후 택견은 점점 쇠퇴하게 되었다.

일제는 일본의 무예로 우리 민족의 정신까지 지배하려 하였으며
현재까지 그 잔재가 남아 있다.

지금까지 보았 듯 택견은 손과 발을 쓰며 상대를 넘기는 기예이다.
손을 쓰는 수박, 넘기는 씨름, 발을 쓰는 각술
이 모두가 합쳐진 것이 택견이다.   
                     
이것을 요즘 사람들은 종합격투기라 부르고
조선시대에는 "탁 견" 이라 불려졌던 것 이다.

출처 : 원주결련택견 http://cafe.daum.net/wonjuteakyun/_album/184

'결련택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밟기 두번째  (0) 2010.06.14
택견의 품밟기  (2) 2010.06.03
택견은 종합 격투기란 뜻이다. 2  (0) 2010.05.29
택견은 종합 격투기란 뜻이다. 1  (0) 2010.05.29
인형 때리고 놀기  (3) 2010.05.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