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원주여자고등학교 후배들이 참가했습니다.
모두들 수고하셨습니다.

구성이 찰지게 되어 있어서 자칫 지루해질 수 있는 시연을 재밌게 볼 수 있었습니다.

본인은 좀 오래 쉰 관계로 참가를 못했지만 아마 하게 되었다면 악당2를 하지 않았을까 추측해 봅니다.

그나저나 작년에도 인기상... 올해도 인기상... 

한밤중이라 그런지 쓸데없는 옛날 생각이 자주 떠오른다.

지금 알려주는 이 작은 사건은 내가 '사람은 왜 욕심을 위해 남의 것을 훔칠까? 라는 것을 생각하게된 최초의 기억일 듯 하다.

때는 내가 6살인 1990년 어느 화창한 날로 기억한다. 그땐 원주 학성중하교 앞에 있던 YMCA아기스포츠단을 다니고 있었다.

그날은 돋보기 관찰의 날이었기 때문에 준비물인 돋보기를 사서 여러가지 실험 등을 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고 어느새 집에 갈 시간이 다 되었다. 나는 바로 앞 아파트에서 조금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사했기 때문에 유치원의 미니 버스를 타고 집으로 갈 준비를 하고 있었다.

 나는 좌석에 앉아 그날의 영웅인 돋보기를 다시 한번 가방에서 꺼내서 놀고 있었다. 하지만 돋보기는 싸구려 였던 것이었을까?

 내 작은 어린아이의 아귀 힘으로 렌즈가 떨어져 버렸다. 돋보기에 볼록렌즈가 없다면 그것은 이미 쓰레기와 다를 바 없었기 때문에 나는 당연히 굴러 떨어진 렌즈를 찾기 시작했고 곧 렌즈가 앞좌석 밑으로 굴러간 것을 알게 되었다. 그래서 나는 렌즈를 찾아 앞으로 갔다.

 이미 내 렌즈는 어떤 아이의 손에 들려 있었고 나는 '내 것이니 돌려줬으면 좋겠다.' 라고 말을 걸었다. 나는 당연히 돌려줄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그 아이는 자기 것이라고 생때를 쓰기 시작했다.

 내 생각에는 아마 가벼운 욕설도 했던 것 같다. 나는 렌즈빠진 돋보기를 증거로 보여주며 다시금 재촉했지만 돌아오는 것은 나보다 몸집이 큰 아이의 위협이었다.

 그 시절에도 폭력 반대였던 나는 아까운 내 렌즈를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욕심많은 불쌍한 아이에게 적선한 셈 치고 아쉬움을 뒤로하고 자리로 돌아갔다.

 지금 생각해보면 일종의 점유이탈물횡령죄와 협박 거짓말을 3종세트로 경험한 듯 한 날이었다.

 집으로 도착해서 렌즈빠진 돋보기는 내 장난감 통 속으로 들어갔고 훗날 가지만 남은 앙상한 나무에 그 돋보기 걸어두는 것으로 이별을 했다. 그날밤 거짓말을 하는 그 아이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어 밤새도록 고민하다 잠이 들었다.

 그렇게 그날의 그 사건은 뻔뻔한 거짓말을 하는 인간을 경험한 최초의 기억으로 내 머리속에 남아있게 된다.

"인간은 본인의 이득을 위해 거짓말을 하는 존재이다."

 어린 나이에 알게된 인간의 추악한 본성이고 이것은 거짓말하는 사람들을 볼때마다 내 기억속에서 되살아 나고있다.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렸을 때 경험한 분신사바  (0) 2011.11.17
중학교 미술시간  (0) 2011.11.17
'Auguries of Innocence' -- William Blake (1757-1827)  (0) 2010.10.01
요즘 대학생들에 대한 불평  (0) 2010.07.11
무서운 세상  (0) 2010.05.31





택견은 손과 함께 발길질로 상대방을 타격하는 것이라 글 중간에 언급되어 있다.

해동죽지(海東竹枝) <1925>

(최영년)의 시집(). 우리나라의 역사()ㆍ풍속()ㆍ지리()ㆍ명승()ㆍ고적() 등()에 대()해 읊은 500여 편의 시를 수록()해 놓았음



각저희 >>>

옛날 습속에 서로 마주 대하여 힘을 겨루어 다투어서 승부를
결정짓는 것을 이름하여 씨름이라고 한다.

맨 발에 춤추듯이 하면 피가 텅 빈 속까지 가득 차고, 용맹하기가 하나라
우왕때 만든 솥을 한 순간에 들어올릴 정도였다. 일정 범위의 평평한 모래에
향기 좋은 풀을 만난 듯이. 성난 소가 뿔을 세우고 서로 견주려고 향하는구나.



탁견희 >>>

옛날 습속에 발차기 기술이 있었는데, 서로 마주 보고 서서 서로 발을 차서
쓰러뜨리는 것으로 방법이 세 가지 있다. 가장 못하는 자는 상대편의 다리를 차고,
잘하는 자는 상대편의 어깨를 차고, 비각술이 있는 자는 상대편의 상투를 차서
떨어뜨린다. 이 기술로써 어떤 사람은 복수를 하고 어떤 사람은 내기를 걸어
상대편이 사랑하는 계집을 뺏기도 하였다. 법관이 그것을 금지한 이후 부터
지금은 이런 놀이가 없는데 이것을 이름하여 탁견이라고 한다.

모든 기술 중에서 가장 신통한 것은 비각술이니, 가볍게 상투나 비녀처럼 높은
곳의 것도 빼앗을 수 있구나. 다투어 여인을 차지하는 것은 이때부터 풍류가
되었으며, 한 번 겨루어 초선같은 미인을 차지하니 의기양양하구나.
 


수벽타 >>>

옛날 습속에 손기술이 있었는데, 고대의 검술에서 유래한 것이다.
마주하고 상대하여 손으로 막고 서로 친다. 만약 한 손이라도 법도(규칙)을
잃으면 곧 때려 쓰러뜨리는데 이것을 이름하여 수벽치기라고 한다.

검술은 먼저 손기술의 오묘함을 따랐으며, 척계광 장군이 이미 병법의 기술로
가르쳤다. 세 단계에 만약 한 단계라도 어긋남이 있으면, 손 칼날에 의하여
한 순간에 머리가 잘려 떨어진다.



재물보(才物譜) <1798>

1798년(정조 22) 이만영(李晩永 : ?~?)이 편찬한 백과전서류의 책.
8권 4책. 필사본. 이본(異本)이 많다. 체제는 천보(天譜)·지보(地譜)·인보(人譜)·물보(物譜)로 구성되어 우주·자연에서부터 사회제도에 이르기까지 잡다한 사항을 수집·분류했다. 수록된 각 항목에 대해서는 경(經)·사(史)·자(子)·집(集)을 비롯한 각종 자료를 동원하여 일일이 주석을 달았으며, 명사에는 한글로 우리 속명(俗名)을 부기하여 풀이하고 있다. 내용을 보면 천보에서는 천지·일월성신(日月星辰)·육갑(六甲)·역(曆)·사시(四時) 등 자연현상에 대하여, 지보에서는 우리나라의 지도·산·바다·들과 주변국가의 명칭, 지리적 소개, 우리나라와의 관계 등을 설명하고 있다. 인보에는 인(人)·인륜(人倫)·민(民)으로 분류하여 사람의 신체구조, 명칭, 기능과 인륜관계, 사(士)·농(農)·공(工)·고(賈)·예(禮)·악(樂)·병(兵)·형(刑) 등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제도들이 실려 있다. 물보에는 기구집물(器具什物)·초목(草木)·금수(禽獸) 등에 관한 항목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역대 문물제도와 자연과학에 대한 항목이 많고, 각 항목에 대한 해석과 출전이 자세하게 밝혀져 있는 것이 특징이며, 우리나라 역대 제도·문물과 조선 후기 백과전서식의 고증적 학풍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규장각·국립중앙도서관·장서각 등에 소장되어 있다.


재물보(才物譜)의 기희조(技戱條)에는 『卞 手搏爲卞 角力爲武 若今之탁견』이라 하여 즉 "卞 手搏은 卞이라고 하고 角力은 武라고 하는데 지금에는 이것을 탁견이라고 한다" 라고 기록하고 있는데 재물보에서는 한자어로 기록된 卞, 手搏, 角力, 武 등을 탁견이란 한글어로 기술하고 있다.
卞(변)은 "맨손으로 치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수박이 맨손으로 하는 무예임을 알 수 있다. 角力은 씨름처럼 서로 힘을 겨루는 투기를 일컫는 말로 무예를 총칭하는 용어이기도 하다.
수박은 손기술을 대표한다면 각력은 발기술을 대표하는 용어로 이것들을 통칭해 <탁견>이라 함은 택견이 손과 발을 같이 사용하는 맨손 무예임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관장님과의 대화 중 일본진출에 대한 아이디어가 나오고 그리고

조심스럽게 접근 중..
(사실 매우매우 조금씩이지만...)


잘 되었으면 좋겠군요....


전통 무술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기 때문에 재일동포 위주로 퍼지겠지만
딱딱한 무술에 익숙해진 일본인들이 부드럽고 강한 택견의 움직임에 매력을 느끼게 되면
택견 세계화의 첫걸음이 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그날을 위해 수련 더욱 더 수련




 
1. 여기 나오는 소는 단 한마리
2. 항상 같은 쪽의 모습만 보여준다. (좌우 반전영상)
3. 비트가 불협화음을 이루나 잘 들어보면 또 나름 어울림
4. 소의 움직임을 예상하기 힘듬
5. 영상이 한쪽으로만 움직여서 눈이 어지러움
6. 갈 수록 소의 모습이 추상적으로 변함 (피카소의 그것이 생각남)
7. 프렉탈의 모습이 보임
8. 처음봤을 땐 신기함보다는 공포감이 먼저였음

---------------------------------------------------------

CYRIAK : 영국의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터.

그로테스크 하면서도 독특한 발상의 작품들로 유명
몇년 전 인터넷에서 종종 보던 자동차가 달리는 GIF 애니메이션도 이 사람의 작품

출처 :
http://cyriak.co.uk/blog/

+ Recent posts